맨위로가기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되었으며,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의 단체장과 의원을 선출하는 선거였다.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6번째로 치러진 이번 선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 간의 양자 대결 구도로 진행되었으며,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정부의 대응과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의 성격도 띠었다. 선거 결과, 새누리당은 광역단체장 8곳, 기초단체장 117곳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광역단체장 9곳, 기초단체장 80곳에서 승리하여 팽팽한 접전을 벌였다. 교육감 선거에서는 진보 성향 후보가 대거 당선되었으며, 최종 투표율은 56.8%를 기록했다. 한편, 후보자 전과 문제와 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당선자 발생 등 논란도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4년 대한민국의 선거 -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2014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는 7월 30일과 10월 29일에 국회의원 및 기초의원을 선출하기 위해 치러졌으며, 7월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과반 의석을 차지했고, 10월 선거는 새누리당의 승리로 끝나 야당이 분열되는 결과를 낳았다.
  • 2014년 6월 - 2014년 프랑스 오픈
    2014년 프랑스 오픈은 파리에서 열린 테니스 그랜드 슬램 대회로, 남자 단식은 라파엘 나달, 여자 단식은 마리아 샤라포바가 우승했으며 단식, 복식, 혼합 복식 경기가 진행되었다.
  • 2014년 6월 - 201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
    2014년 윔블던 선수권 대회는 올잉글랜드 론 테니스 크로케 클럽에서 개최된 128번째 대회로, 노바크 조코비치와 페트라 크비토바가 각각 남자 단식과 여자 단식에서 우승했으며 총 상금은 2,500만 파운드였다.
  • 대한민국의 지방 선거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2018년 6월 13일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문재인 정부에 대한 첫 중간 평가 성격으로, 더불어민주당의 압승과 자유한국당의 참패, 그리고 1995년 지방자치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경상도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승리한 것이 특징이며, 1인 7표제로 교육감, 광역·기초자치단체장, 광역·기초의원 등을 선출했다.
  • 대한민국의 지방 선거 -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지방자치법 개정 후 지방의회 선거에 이어 처음으로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동시에 치러지면서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의 시작을 알렸으며, 광역단체장, 기초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의원을 선출하고 68.4%의 투표율을 기록, 여당의 부진과 지역주의, 저조한 여성 당선자 비율을 나타냈다.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지도
2014년 대한민국 지방선거 결과 (광역시/도) 지도
광역자치단체장 지도. 파란색은 새정치민주연합, 빨간색은 새누리당을 나타냄.
기본 정보
선거 이름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국가대한민국
선거 유형지방 선거
선거일2014년 6월 4일
이전 선거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전 선거 연도2010년
다음 선거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다음 선거 연도2018년
선출 의석광역자치단체장 17명, 광역의원 789명, 기초자치단체장 226명, 기초의원 2,898명, 교육감 17명, 교육의원 5명
선거 캠페인2014년 5월 22일 ~ 6월 3일
인구51,333,301명
등록 유권자41,296,228명
투표율56.8% ( 2.4%p)
정당별 결과
정당새정치민주연합
지도자김한길, 안철수 (공동대표)
광역자치단체장9석
기초자치단체장80석
광역의원349석
기초의원1157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7석, 기초단체장 92석, 광역의원 360석, 기초의원 1025석
의석 증감광역단체장 2석, 기초단체장 12석, 광역의원 11석, 기초의원 132석
정당새누리당
지도자이완구 (비상대책위원장)
광역자치단체장8석
기초자치단체장117석
광역의원416석
기초의원1413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7석, 기초단체장 95석, 광역의원 329석, 기초의원 1364석
의석 증감광역단체장 1석, 기초단체장 22석, 광역의원 87석, 기초의원 49석
정당통합진보당
지도자이정희 (당대표)
광역자치단체장0석
기초자치단체장0석
광역의원3석
기초의원34석
이전 선거 결과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3석, 광역의원 29석, 기초의원 139석
의석 증감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3석, 광역의원 26석, 기초의원 105석
정당노동당
지도자이용길 (당대표)
광역자치단체장0석
기초자치단체장0석
광역의원1석
기초의원6석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
의석 증감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1석, 기초의원 6석
정당정의당
지도자천호선 (당대표)
광역자치단체장0석
기초자치단체장0석
광역의원0석
기초의원11석
이전 선거 결과신생 정당
의석 증감광역단체장 0석, 기초단체장 0석, 광역의원 0석, 기초의원 11석
정당무소속
광역자치단체장0석
기초자치단체장29석
광역의원20석
기초의원277석
참고 자료
웹사이트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

2. 선거 개요

대한민국에서 지방자치제도가 완전히 부활한 이후 6번째로 치러지는 선거이다.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단체장과 의회의원 각각의 임기 만료에 따라 실시된다. 이번 지방선거에서는 당초 여당인 새누리당과 최대 야당인 민주당 외에 2012년 대통령 선거 초반에 돌풍을 일으켰던 안철수가 결성을 목표로 했던 신당 "신정치연합"이 가세하는 삼파전이 예상되었다. 그러나 3월에 민주당과 신정치연합이 지방선거 전 신당 결성을 선언, 신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이 결성됨으로써 새누리당과 신당의 사실상 일대일 대결이 되었다.[3][4][5]

지방선거이지만 전국 규모로 실시되는 선거이기 때문에, 정권 출범 1년이 지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는 물론, 4월에 발생한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정부의 사고 대응에 대한 심판의 의미도 강한 선거가 되었다.[6][7] 참고로 이번 선거에서는 통일 선거로서는 처음으로 기간 전 투표(사전투표)가 도입되었다.[8]

주요 일정은 다음과 같다.


  • 2월 4일:시도지사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2월 21일:시도의회 의원 선거 및 구청장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3월 2일:구시의원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3월 23일:군의원 및 군수 선거 예비후보자 등록 시작
  • 5월 15일16일:후보자 등록 신청 (오전 9시~오후 6시)
  • 5월 22일:공식 선거 기간 시작일
  • 5월 30일31일:사전투표소 투표 기간 (오전 6시~오후 6시)
  • 6월 4일:투표 (오전 6시~오후 6시), 투표 마감 후 개표.

2. 1. 선거권

선거일 기준 만 19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선거일 24시 기준 만 19세가 되는 1995년 6월 5일 출생자 포함)은 공직선거법 제18조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선거권이 있다.[1]

2. 2. 선거 제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유권자가 1인 7표를 행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차 투표용지에는 교육감, 광역자치단체장, 기초자치단체장을 기표하고, 2차 투표용지에는 광역자치단체의원, 기초자치단체의원, 광역자치단체의원 비례대표, 기초자치단체의원 비례대표를 기표한다.[30] 제주특별자치도는 기초자치단체장 및 기초자치단체의회 의원을 선출하지 않고 교육의원을 선출하여 1인 5표를 행사하며,[30] 세종특별자치시는 기초 및 광역 자치단체가 통합되어 있어 1인 4표를 행사한다.[9]

실시된 선거는 다음과 같다.[9]

  •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주민 직접 투표로 최다 득표 후보 당선
  •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주민 직접 투표로 최다 득표 후보 당선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는 실시하지 않음)
  • 광역의회의원 선거: 지역구(소선거구제)와 비례대표제 병립
  • 기초의회의원 선거: 선거구(중선거구제)와 비례대표 병립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는 실시하지 않음)
  • 교육감 선거: 최다 득표 후보 당선, 정당 공천 금지
  • 교육의원 선거: 제주특별자치도에서만 실시, 정당 공천 금지[10]


후보자 기호는 국회 의석 5석 이상 또는 최근 선거에서 유효투표수 3% 이상을 얻은 정당에 전국 통일 기호를 부여한다. 정당 순서는 국회 의석 수, 최근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득표수 순이다. 의석이 없는 정당은 가나다순, 무소속 후보는 선관위 추첨으로 결정한다. 이번 선거에서 새누리당은 “1번”, 새정치민주연합은 “2번”, 통합진보당은 “3번”을 부여받았다. 정의당은 후보자를 낸 지역에서 “4번”을 사용했다. 기초의회 지역구 선거에서는 동일 정당 후보자에게 “1-가”, “1-나”와 같이 정당 번호와 가나다 번호를 함께 사용한다. 교육감 선거는 정당 추천이 금지되어 기호 없이 후보자 이름만 순서대로 기재한다.[11]

2. 3. 참여 정당



호겨레자유평화통일당국회의원이 없는 정당은 가나다 순서로 기호를 갖는다. 무소속은 정당의 다음에 배정되며, 무소속 후보가 2명 이상이면 추첨으로 기호를 정한다.공화당그린불교연합당기독민주당노동당녹색당대한민국당새마을당새정치국민의당한나라당



후보자에게 부여되는 기호(번호)는 국회에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정당 중 5명 이상의 의원을 보유한 정당, 최근 대통령 선거나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 비례대표 지방의원 선거에서 유효투표수의 3% 이상을 얻은 정당에 전국적으로 통일된 기호를 부여한다.[11] 정당의 순서는 국회 의석 수가 많은 순서이며, 같은 의석 수를 가진 정당이 두 개 이상 있을 경우 최근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서 득표수가 많은 순서로 번호를 부여한다.[11] 국회에 의석이 없는 정당은 가나다순으로, 무소속 후보는 관할 선거구 관리위원회에서 추첨하여 결정한다.[11]

이번 제6회 지방선거에서는 새누리당에 “1번”, 새정치민주연합은 “2번”, 통합진보당은 “3번”의 전국 동일 기호가 부여되었다(이들 정당이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은 선거구에서는 결번 처리됨).[11] 국회 의석을 보유하고 있는 정의당이 후보자를 낸 지역에서는 “4번”을 사용하고, 정의당 후보자가 없는 지역에서는 군소정당이 4번부터 가나다순으로 번호를 할당받는다.[11]

국회에 의석을 보유하고 이번 지방 선거에 후보자를 공천한 정당은 다음과 같다.

3. 정당별 주요 공약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각 정당은 공약집을 발간하였다. 여당인 새누리당은 "행복은 작은 것부터 시작한다"는 명제 아래, 거창한 구호보다 국민들이 생활 속에서 필요로 하는 정책을 실천 가능한 순서대로 모아 '행복드림' 약속 꾸러미를 만들었다고 밝혔다.[31]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은 "더. 줄. 지 생활공약"을 내걸고, 오천만 생활자를 위해 여유는 더해주고, 부담은 줄여주고, 안전은 지켜주는 3대 기조로 대한민국 생활자가 누려야 할 8대 공통권리와 24개 생활자별 공약을 제시했다고 밝혔다.[32]

지역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기타/무소속합계
서울특별시52025
인천광역시63110
경기도1317131
강원도151218
대전광역시145
충청남도95115
충청북도63211
광주광역시55
전라남도14822
전라북도7714
대구광역시88
부산광역시15116
울산광역시55
경상남도141318
경상북도20323
총계1178029226


3. 1. 안전

세월호 침몰 사고와 연이은 안전 사고 이후 여당인 새누리당과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 통합진보당 등은 지방선거에서 '안전'을 키워드로 내걸고 선거운동에 돌입하였다.[33] 새누리당은 공약집에서 "최근 세월호 침몰사고로 인해 고귀한 국민들의 생명이 희생되었고 국민 안전에 대한 신뢰가 무너지고 이는 국민의 가슴에 멍을 들게 하였다"며 "다시는 이러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우리 사회의 기본부터 다시 챙기겠다"고 밝혔다.[34]

안전 부문에서 여당은 잘못된 관행과 비리를 철폐하고 다중이용교통시설에 대한 안전 대책 강화, 성폭력·가정폭력·아동학대를 방지하고 이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며,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대책과 석면·미세먼지·라돈과 같은 '생활 주변 유해물질'을 차단하겠다고 밝혔다.[35] 새정치민주연합은 국민 모두가 일상생활에서 위협받지 않고 안심할 수 있도록 기본권을 보장해야 한다며 여야와 시민사회,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는 범국가적 위원회를 구성하고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안전관리 시스템을 전면 재개편하겠다고 하였다. 또한 재난 발생 시 30분 내에 현장에 도착하여 구조 활동이 가능하도록 각종 재난대응 자원을 정비하고 대응체계를 전면 개편하겠다고 다짐하였다.[36] 이외 도시 치안을 확보하고 원전 비중 확대에 따라 국민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36]

4. 선거 결과

광역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광역시당선자정당득표수득표율비고
서울특별시박원순새정치민주연합2,726,76356.1%새정치민주연합 유지
인천광역시유정복새누리당615,07750.0%새누리당 획득
대전광역시권선택새정치민주연합322,76250.1%새정치민주연합 획득
세종이춘희새정치민주연합36,20357.8%새정치민주연합 획득
광주광역시윤장현새정치민주연합367,15057.9%새정치민주연합 유지
대구광역시권영진새누리당581,17556.0%새누리당 유지
부산광역시서병수새누리당797,92650.7%새누리당 유지
울산광역시김기현새누리당306,31165.4%새누리당 유지
경기남경필새누리당913,16250.4%새누리당 유지
강원최문순새정치민주연합381,33849.8%새정치민주연합 유지
충청남도안희정새정치민주연합465,99452.2%새정치민주연합 유지
충청북도이시종새정치민주연합361,11549.8%새정치민주연합 유지
전라남도이낙연새정치민주연합755,03678.0%새정치민주연합 유지
전라북도송하진새정치민주연합599,65469.2%새정치민주연합 유지
경상남도홍준표새누리당913,16258.9%새누리당 유지
경상북도김관용새누리당986,98977.7%새누리당 유지
제주원희룡새누리당172,79360.0%새누리당 획득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지역합계
의석수의석수의석수
서울특별시52025
인천광역시63110
경기도1317131
강원151218
대전광역시145
세종세종특별자치시는 기초자치단체가 없다.
충남95115
충북63211
광주광역시55
전남14822
전북7714
대구광역시88
부산광역시15116
울산광역시55
경남141318
경북20323
제주제주특별자치도는 기초자치단체가 없다.
총계1178029226



광역의원 선거 결과
지역합계
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
서울특별시2977106
인천광역시231235
경기도5077128
강원366244
대전광역시61622
세종59115
충남301040
충북211031
광주광역시21122
전남1521458
전북1341238
대구광역시29130
부산광역시45247
울산광역시21122
경남5021255
경북522660
제주1716336
총계4633583120849



기초의원 선거 결과
지역합계
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
서울특별시19621913419
인천광역시6349211116
경기도214207127431
강원도1054816169
대전광역시303363
충청남도995911169
충청북도794119130
광주광역시1569268
전라남도1837251243
전라북도4139252197
대구광역시87132113116
부산광역시1086617182
울산광역시35491150
경상남도143346245260
경상북도2195159284
총계13831156341162772897


4. 1. 투표율

의 최종 투표율은 56.8%로, 총 유권자 4129만 6228명 중 2346만 4573명이 투표에 참여하였다.[37] 이는 1995년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두 번째로 높은 투표율이다.[37]

지역별 투표율은 다음과 같다.[38]

4. 2. 광역자치단체장

'''광역자치단체장 정당별 분포'''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광역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총 17명의 광역자치단체장이 선출되었다. 새누리당은 8곳, 새정치민주연합은 9곳에서 당선되어 팽팽한 결과를 보였다.[17]

'''광역단체장 선거 정당별 당선자 수''' (17명)
89
--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



당선자 명단 및 정당
지역당선자정당득표수득표율
수도권서울특별시박원순새정치민주연합2,752,17156.12%
인천광역시유정복새누리당615,07749.95%
경기도남경필새누리당2,524,98150.43%
충청도대전광역시권선택새정치민주연합322,76250.07%
세종특별자치시이춘희새정치민주연합36,20357.78%
충청북도이시종새정치민주연합361,11549.75%
충청남도안희정새정치민주연합465,99452.21%
전라도광주광역시윤장현새정치민주연합367,20357.85%
전라북도송하진새정치민주연합599,65469.23%
전라남도이낙연새정치민주연합755,23377.96%
경상도부산광역시서병수새누리당797,92650.65%
대구광역시권영진새누리당581,17555.95%
울산광역시김기현새누리당306,31165.42%
경상북도김관용새누리당986,98977.73%
경상남도홍준표새누리당913,16258.85%
강원도최문순새정치민주연합381,33849.76%
제주특별자치도원희룡새누리당172,79359.97%


지역별 판세 분석



전반적으로 새누리당은 전통적 강세 지역인 경상도에서 우위를 유지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은 서울특별시, 충청도 등에서 선전하며 5회 지방선거 때보다 도시 지역에서 지지세가 확대되었다.

4. 3. 교육감

'''교육감 성향별 분포''' (교학사 역사교과서에 대한 문제제기와 전교조 명단 공개, 무상급식 도입 찬반과 같은 기준으로 진보와 보수로 나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교육감 선거에서는 17개 시·도 중 13곳에서 진보 성향 교육감이 당선되었다. 이는 4년 전 선거와 비교했을 때 진보 진영이 크게 약진한 결과이다.[19][20]

지역후보성향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교육감조희연진보1,894,872표39.1%
인천광역시교육감이청연진보382,724표31.9%
경기도교육감이재정진보1,661,034표36.5%
강원도교육감민병희진보349,464표46.4%재선
대전광역시교육감설동호중도198,364표31.4%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최교진진보23,482표38.2%
충청남도교육감김지철진보273,714표31.9%
충청북도교육감김병우진보316,107표44.5%
광주광역시교육감장휘국진보302,858표47.6%재선
전라남도교육감장만채진보534,876표56.3%재선
전라북도교육감김승환진보473,562표55.0%재선
대구광역시교육감우동기중도595,097표58.5%재선
부산광역시교육감김석준진보544,501표34.7%
울산광역시교육감김복만보수181,390표36.2%재선
경상남도교육감박종훈진보604,581표39.4%
경상북도교육감이영우보수646,18452.1%3선
제주특별자치도교육감이석문진보95,026표33.2%



당선자 명단 및 정치 성향
시·도당선자정치 성향득표수득표율
서울특별시조희연진보189487239.08%
인천광역시이청연진보38272431.89%
경기도이재정진보166692136.51%
대전광역시설동호중도19836431.42%
세종특별자치시최교진진보2348238.17%
충청북도김병우진보31610744.50%
충청남도김지철진보27356131.84%
광주광역시장휘국진보30290447.60%
전라북도김승환진보47356255.00%
전라남도장만채진보53484556.24%
부산광역시김석준진보54450134.67%
대구광역시우동기중도59509758.47%
울산광역시김복만보수18139036.17%
경상북도이영우보수64618452.07%
경상남도박종훈진보60458139.41%
강원도민병희진보34946446.40%
제주특별자치도이석문진보9502633.22%


4. 4. 기초자치단체장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의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서는 전국 226곳 중 새누리당이 117곳, 새정치민주연합이 80곳, 무소속 후보가 29곳에서 당선되었다.

지역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무소속
서울특별시52025
인천광역시63110
경기도1317131
강원도151218
대전광역시145
충청남도95115
충청북도63211
광주광역시55
전라남도14822
전라북도7714
부산광역시15116
울산광역시55
경상남도141318
대구광역시88
경상북도20323
전국1178029226



수도권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40곳에서 승리하여 새누리당(24곳)에 비해 우세를 보였다. 특히 서울특별시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25개 구 중 20곳에서 승리했다. 인천광역시에서는 새누리당이 6곳, 새정치민주연합이 3곳, 무소속이 1곳에서 승리했다. 경기도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17곳, 새누리당이 13곳, 무소속이 1곳에서 승리했다.

새누리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인 경상도에서는 새누리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부산광역시에서는 16개 구·군 중 15곳, 대구광역시에서는 8개 구·군 모두, 울산광역시에서는 5개 구 모두, 경상북도에서는 23개 시·군 중 20곳, 경상남도에서는 18개 시·군 중 14곳에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새정치민주연합의 전통적 지지 기반인 전라도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다수 지역에서 승리했으나, 무소속 후보의 강세 또한 두드러졌다. 광주광역시에서는 5개 구 모두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전라북도에서는 14개 시·군 중 7곳, 전라남도에서는 22개 시·군 중 14곳에서 새정치민주연합 후보가 당선되었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무소속 후보가 당선되었다.[18]

충청도에서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혼전을 벌였다. 대전광역시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4곳, 새누리당이 1곳에서 승리했고, 충청북도에서는 새누리당이 6곳, 새정치민주연합이 3곳, 무소속이 2곳, 충청남도에서는 새누리당이 9곳, 새정치민주연합이 5곳, 무소속이 1곳에서 승리했다.

강원도에서는 새누리당이 18개 시·군 중 15곳에서 승리하며 강세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새누리당은 영남 지역과 강원 지역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은 수도권과 호남 지역에서 강세를 보였다.

정당별 득표 및 당선자 수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자 수
새누리당9,863,13843.97117
새정치민주연합8,829,60939.3680
통합진보당427,8741.910
정의당146,3460.650
새정치국민의당26,0060.120
녹색당7,1210.030
노동당4,3860.020
겨레자유평화통일당2,6520.010
공화당3980.000
무소속3,124,34113.9329


4. 5. 광역의원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총 416석으로 제1당을 차지했고, 새정치민주연합은 349석으로 제2당이 되었다. 통합진보당은 3석, 노동당은 1석을 얻었으며, 무소속은 20석을 차지했다.
지역별 광역의원 당선 현황

지역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통합진보당노동당무소속
서울특별시2977106
인천광역시211035
경기도5078128
강원도366244
대전광역시61622
세종특별자치시59115
충청남도301040
충청북도211031
광주광역시21122
전라남도1521458
전라북도1341238
부산광역시45247
울산광역시21122
경상남도5021255
대구광역시29130
경상북도522660
제주특별자치도1716336
전국4163493120789


광역의원 비례대표 정당별 득표 현황

지역새누리당새정치민주연합통합진보당정의당기타 정당합계
서울특별시2,205,5242,205,358148,049190,531109,5544,859,016
인천광역시618,628498,87436,99947,58720,7681,222,856
경기도2,395,8672,204,004157,783191,56984,3815,033,604
강원도443,133262,46718,54416,88716,634757,665
대전광역시294,903303,89017,21916,8193,948636,779
세종특별자치시29,14132,62761,768
충청남도468,764337,69423,63721,62024,309876,024
충청북도383,081279,43022,81717,03514,392716,755
광주광역시55,525453,28185,01026,37015,168635,354
전라남도99,809646,558118,57450,83847,130962,909
전라북도149,598541,68571,18458,34644,344856,579
부산광역시921,198520,41463,64645,35133,8251,584,434
울산광역시278,709119,40260,83618,47225,065502,484
경상남도913,467445,51481,71738,76663,8031,543,267
대구광역시717,289244,23324,15729,12011,0241,025,823
경상북도949,983207,84630,75237,00238,1901,263,773
제주특별자치도139,297108,21512,30117,4728,780286,065
전국11,063,916 (48.47%)9,411,492 (41.23%)972,311 (4.15%)823,785 (3.61%)554,271 (2.54%)21,725,155



기타 정당에는 공화당, 국제녹색당, 노동당, 녹색당, 새정치당, 한나라당이 포함된다.

4. 6. 기초의원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기초의원 정당별 당선자 수
정당지역구비례대표총 당선자 수
새누리당12062071413
새정치민주연합9891681157
통합진보당31334
정의당10111
노동당606
무소속2770277
합계25193792898



지역별 기초의원 당선자 수
지역합계
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의석수
서울특별시19621913419
인천광역시6349211116
경기도214207127431
강원도1054816169
대전광역시303363
충청남도995911169
충청북도794119130
광주광역시1569268
전라남도1837251243
전라북도4139252197
대구광역시87132113116
부산광역시1086617182
울산광역시35491150
경상남도143346245260
경상북도2195159284
총계13831156341162772897


5. 결과 분석 및 영향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는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이 서로 다른 부분에서 승리하며 비긴 선거로 평가받는다. 조선일보 등 보수 언론은 득표율과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새누리당이 우세했던 점을 들어 새누리당의 승리로, 한겨레신문 등 진보 언론은 광역단체장 선거와 교육감 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이 승리한 점을 들어 새정치민주연합의 승리로 평가했다.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새정치민주연합이 승리했다. 특히 강원도에서는 이광재의 당선 상실로 여권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최문순 후보가 당선되었고, 충청 지역에서도 진보 성향 후보들이 대거 당선되었다. 반면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는 새누리당이 승리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호남 지역에서 무소속 후보들의 선전으로 인해 고전했다.

진보 정당은 이번 선거에서 참패했다. 노동당, 정의당, 통합진보당으로 분열된 상황에서 후보 단일화에 실패하며 광역 및 기초단체장 선거에서 단 한 명의 당선자도 배출하지 못했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도 노동당 출신 여영국 후보만이 당선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통합진보당은 와해되고, 정의당이 진보 정당의 중심 세력으로 떠올랐다.

교육감 선거에서는 대부분 진보 성향 후보가 당선되었다. 특히 서울에서는 고승덕 후보의 '미안하다' 발언 논란으로 보수 후보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진보 성향 후보가 당선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번 선거는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중간 평가이자 세월호 침몰 사고에 대한 정부 대응에 대한 심판의 성격을 띠었다.[6][7]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엇갈린 승패는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에 대한 엇갈린 민심을 반영하며, 향후 정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6. 논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후보자 전과, 선거법 위반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하위 섹션에서 자세한 내용을 다룬다.)

6. 1. 후보자 전과 문제

2014년 2월, 전과 공개 기준이 "금고형 이상"에서 "벌금 100만 원 이상"으로 강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는 전과 기록이 있는 당선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권자들의 후보 선택에 중요한 정보인 전과 기록 공개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는 부분이다.[21]

선거관리위원회의 자료에 따르면, 이번 선거에서 1회 이상의 전과 기록이 있는 당선자는 총 1418명으로, 전체 당선자 3952명 중 35.9%를 차지했다. 이는 2010년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의 전과자 당선자 비율(약 10%)을 크게 웃도는 수치이다. 전과 건수별로는 1건이 830명, 2건이 328명이었으며, 심지어 전과 9범의 당선자도 4명이나 되었다. 전과 8범 4명, 전과 7범 5명 등 범죄 경력이 5회 이상인 당선자도 47명이었다.[21]

특히, 폭력 3회, 매춘방지법 위반 4회, 존속협박 1회 등 전과 9범의 후보자가 4선에 성공하고, 사기, 근로기준법 위반 등 전과 9범의 후보자도 당선되는 등 전과 기록이 유권자들의 후보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중앙일보는 이러한 상황을 두고 "전과자들의 놀이터"라고 비판하기도 했다.[21]

전과 기록이 있는 당선자 1418명 중 시장·도지사는 4명, 교육감은 8명, 지방자치단체장은 74명, 광역시의원과 기초자치단체의원(비례대표 포함)은 1021명이었다.[21]

6. 2. 선거법 위반

2014년 6월 5일, 대검찰청은 이번 지방선거 당선자 69명[22]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기소하여 수사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선거 기간 중 김병우 충청북도교육감을 일일이 방문하거나, 사전에 공약 발표 등 선거운동을 한 김성 전라남도 장흥군수, 370만(약 37만) 상당의 축의금과 선물을 한 한도수 경상북도 청송군수 등이 각각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되었다. 박원순 서울특별시장, 유정복 인천광역시장, 서병수 부산광역시장, 윤장현 광주광역시장, 남경필 경기도지사, 안희정 충청남도지사, 이시종 충청북도지사, 송하진 전라북도지사와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등 광역단체장과 교육감 10명의 당선자도 고발에 따라 검찰 수사가 시작되었다. 이번 선거에서 공직선거법 위반자는 총 2111명[23]이었고, 이 중 50명이 구속, 222명이 기소되었다.[24][25]

참조

[1] 웹사이트 지방선거 사전투표, 나도 한번 해볼까? https://n.news.naver[...] 2023-02-22
[2] 논문 A New Trend in Internet Election Campaigning: The Use of Smartphone Apps in the 2014 South Korean Local Elections https://doi.org/10.1[...]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23-02-22
[3] 뉴스 風雲急の韓国政界 最大野党と安哲秀氏が新党結成で合意 http://japanese.yonh[...] 2014-03-02
[4] 뉴스 民主党・安哲秀氏による新党 名前は「新政治民主連合」 http://world.kbs.co.[...] 2014-03-16
[5] 뉴스 巨大野党誕生 安哲秀氏が共同代表に=韓国 http://japanese.yonh[...] 2014-03-27
[6] 뉴스 韓国統一地方選 選挙戦が実質スタート=予備候補登録開始 http://japanese.yonh[...] 2014-02-23
[7] 뉴스 韓国地方選 与野党が拮抗 ソウル市長は野党再選 https://www.jcp.or.j[...] 2014-06-06
[8] 뉴스 韓国統一地方選 2日間の期日前投票始まる http://japanese.yonh[...] 2014-06-01
[9] 웹사이트 1인 7표제! 투표는 어떻게 하나요?(一人七票制!投票はどのようにすればいいですか?) http://nec.go.kr/por[...] 中央選挙管理委員会 2013-10-21
[10] 뉴스 교육의원 선거 전국은 폐지, 제주는 존속...혼선우려(教育議員選挙 全国は廃止、済州は存続・・・混線憂慮) http://www.jejusori.[...] 2014-06-08
[11] 뉴스 <후보등록> 후보자 기호 어떻게 정해지나(<候補登録>候補者記号どのようにして定められる) http://www.yonhapnew[...] 2014-05-15
[12] 웹사이트 済州市と西帰浦市は行政市
[13] 뉴스 시·도지사 3.6대 1, 기초단체장 3.2대 1(市・道知事で3.6対1、基礎団体長3.2対1) http://www.yonhapnew[...] 2014-05-17
[14] 뉴스 지방선거 경쟁률 역대최저…2.3대 1(종합3보)(地方選挙競争率歴代最小・・・2.3対1(総合3報)) http://www.yonhapnew[...] 2014-05-16
[15] 웹사이트 韓国、統一地方選で呆れたデータ 当選者の35%超に犯罪歴… https://www.zakzak.c[...]
[16] 웹사이트 【社説】統一地方選挙立候補者の40%に前科があるとは=韓国 https://japanese.joi[...]
[17] 뉴스 広域自治体の首長選 与野党がきっ抗 http://world.kbs.co.[...] 2014-06-06
[18] 뉴스 226市郡区首長選では与党躍進=韓国統一地方選 http://japanese.yonh[...] 2014-06-05
[19] 뉴스 <교육감 선거 '진보 압승'…교육정책 '좌클릭'하나>(<教育監選挙‘進歩圧勝’・・・教育政策‘左クリック’か>) http://www.yonhapnew[...] 2014-06-05
[20] 뉴스 <그래픽> 6.4 지방선거 교육감선거 결과(최종)(<グラフィック>6.4地方選挙教育監選挙結果(最終)) http://app.yonhapnew[...] 2014-06-05
[21] 뉴스 「<韓国統一選>前科ありの当選者3倍に…前科9犯も4人」 https://japanese.joi[...]
[22] 텍스트
[23] 텍스트
[24] 텍스트
[25] 웹사이트 https://japanese.joi[...]
[26] 위키 민주당 (2008년 대한민국)
[27] 위키 한나라당 + 자유선진당
[28] 위키 민주노동당 (대한민국) + 국민참여당
[29] 뉴스 지방선거 사전투표, 나도 한번 해볼까? https://news.naver.c[...] 오마이뉴스 2014-05-17
[30] 텍스트
[31] 웹인용 새누리당, '모두의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누리씨의 『행복드림』 발간 http://sijeong.com/n[...] 한국시정신문 2014-05-30
[32] 웹인용 새정치민주연합 공약집 발간 기자 간담회 http://news1.kr/phot[...] 뉴스1 2014-05-30
[33] 웹인용 수도권'빅3' 후보자 공약 비교…세월호 참사 여파 '안전공약' 경쟁 http://inside.chosun[...] 조선일보 2014-05-30
[34] 저널 모두의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누리씨의 행복드림 새누리당 2014-05-30
[35] 저널 모두의 꿈이 이루어지는 나라: 누리씨의 행복드림 새누리당 2014-05-30
[36] 웹인용 1. 생활자라면 누구나 누려야 하는 권리 http://vote64.npad.k[...] 새정치민주연합 2014-05-30
[37] 웹인용 지방선거 투표율 56.8%…16년만에 최고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14-06-05
[38] 웹인용 투표진행상황 http://info.nec.go.k[...]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4-0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